요즘 가스요금뿐만 아니라 전기료, 통신료는 물론 아파트관리비까지 조금씩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관리비와 공과금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는 2023년 기준 아파트관리비 할인카드 TOP 6를 아래와 같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요즘 아파트관리비 할인을 해주는 신용카드가 많지 않네요. 제가 일일이 간략히 조사해 보았고요. 정보제공 목적으로 조사한 거라 카드 가입하신다고 저한테 득이 오는 건 전혀 없으니 아무 부담 없이 보시고 마음에 드시는 카드가 있으면 해당 카드사 홈페이지에 직접 가셔서 가입하시면 됩니다. 기왕 쓰는 신용카드 관리비나 공과금이라도 조금 더 할인받으면 좋잖아요.
아파트관리비 및 공과금 할인 신용카드 6가지
카드명 | 관리비 할인액* | 연회비 | 전월실적 | 기타 |
KB국민카드 Easy all 티타늄카드 | 관리비, 공과금 3% | 3만원 | 50만원 | 개별 업종 선택 최대 10%할인 |
KB국민카드 탄탄대로 올쇼핑카드 | 통신비, 관리비 10% | 모바일 9천원 실물 1만5천원 |
40만원 | 쇼핑 10%, 편의점,카페 5% |
현대카드 Z family | 통신비, 관리비 7% | 1만원 | 40만원 | 쇼핑 10%, 주유 100원/L 할인 |
롯데카드 I'm GREAT | 전월실적에 따라 통신비, 관리비 5~10% | 1만5천원 | 100~150만원 | 마트, 교통, 편의점 5~10%, |
삼성카드 iD 달달할인 카드 | 통신비, 관리비 10% | 2만9천원 | 50만원 | 스트리밍, 온라인쇼핑 50% |
우리카드 카드의 정석 APT | 전월실적에 따라 통신비, 관리비 5천원~15,000원 할인 | 1만5천원 | 40만원 | 유튜브, 넷플릭스 30% |
* 관리비,통신비 등의 할인율 및 최대할인 금액은 카드사 약정에 따라 다르므로 반드시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대부분의 카드가 전월실적 40만원에서 50만원 이상 기준을 두고 있고, 아파트관리비나 공과금(수도, 전기, 가스)할인을 10%내외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각 카드사에서 확인해보면 개인별로 최대 할인금액을 상한선으로 두고 있기 때문에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보통 1~2만원 가량 최대할인으로 정해놓고 있으며 자동이체등록을 했을 경우에만 할인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파트관리비 및 전기요금 절약하는 법
(1) 신세계 상품권, 네이버 포인트로 관리비 납부하기
얼마전부터 SNS에 화제가 되었던 방법입니다. 신세계 상품권은 이마트나 신세계백화점에서 직접 구하실 수도 있지만 당근마켓 등 중고거래사이트를 통하면 시세보다 저렴하고 쉽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이 상품권을 SSG PAY 앱에 등록을 하면 온라인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아파트아이" 앱을 통해 결제 시 SSG페이로 선택 후 납부가 가능합니다. 아파트아이에서 본인의 아파트관리비가 납부 가능한지 먼저 확인하시면 되고, 네이버페이, 토스 등으로도 납부가 가능하니 네이버포인트 등도 잘 모아두셨다가 이럴 때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TV수신료 해지
TV수신료 2,500원은 전기요금 내역에 포함되어 의무적으로 부과되는데 요즘 1인가구 등 TV가 따로 없는 가정도 많습니다. 따라서 TV가 없는 가구는 국번 없이 한국전력 123으로 해지 신청을 하시면 되고, 따로 일일이 집까지 방문하여 진짜 TV가 없는지 확인하지는 않습니다.
(3) 다자녀, 대가족, 출산가구 전기요금 할인 제도
총 가구 구성원이 5인 이상 이거나 자녀 수가 3명 이상의 가구는 전기료가 할인 된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아기가 있는 가정도 할인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분이 많습니다. 만 3세 이하의 영아가 1인 이상 포함된 가구에는 전기요금을 할인해주고 있습니다. 한국전력 전화 123이나 한전 홈페이지에 직접 신청하시면 되고 월 청구 요금의 30%를 할인해 주며, 할인 상한금액이 있으니 아래 기사에서 확인해 보세요.
댓글